BUY
국내 재생 프로젝트 10, 건축에 지속성을 부여하다 PART ② 굳게 닫혀 있던 공간에 새로운 가치와 에너지를 덧댄 도시재생 사례를 모았다. 시공간의 공유를 넘어 휴식과 미식, 경험과 문화를 창조한 10개의 공간.
#라이프스타일 #트렌드 #2023년 10월호#ISSUE283#재생 건축
아트부산과 양태오 디자이너의 합작, 디파인 서울 매년 국내 아트 페어에서 상징적인 기록을 달성해온 아트부산이 디자인과 아트를 통합한 프리미엄 페어인 디파인 서울(DEFINE SEOUL)을 개최한다.
#라이프스타일 #전시 #2023년 10월호#ISSUE283#전시
두닷 ‘콰트로 에어 퀀텀 스퀘어 페닉스 소파 테이블 가구 브랜드 두닷이 ‘콰트로 에어 퀀텀 스퀘어 페닉스 소파 테이블’을 선보였다. 뛰어난 내구성과 내열성, 발수 기능을 갖춘 신소재 페닉스를 활용한 제품으로 미니멀 디자인, 인체공학적인 설계를 더했다. 두닷만의 차별화된 디테일은 거실 라이프스타일을 더욱 풍성하고 윤택하게 가꿔준다.
#아이템 #가구 #2023년 10월호#ISSUE283#두닷#테이블
21주년을 맞이한 LDF 2023 LDF(London Design Festival)가 9월 16일부터 24일까지 열린다.
#라이프스타일 #전시 #2023년 9월호#ISSUE282#런던 디자인 페어
도심 속 휴양지 공간 브랜딩 전문 기업 글로우서울이 완전히 다른 세계에 접어든 것같이 이국적인 풍경의 복합문화공간 글로우쇼룸을 성수동에 오픈했다.
#라이프스타일 #카페&다이닝 #2023년 9월호#ISSUE282#식당
KOSID 전시 <생각의 공유 #01> , 포용하는 디자인, 유연한 사고 KOSID(한국실내건축가협회)가 60명의 디자이너와 함께 <생각의 공유 #01>을 선보였다. 다양하고 자유로운 사고에서 탄생한 60개의 의자로 빼곡히 채운 전시에서 디자인 필드의 새로운 무브먼트가 감지되었다.
#아이템 #가구 #2023년 9월호#ISSUE282#디자인
한여름의 위스키&칵테일 바, 궁극의 공간에서 즐기는 한 잔 한 잔만 마셔도 풍미와 향이 오래 지속되는 위스키와 칵테일. 그 여운을 특별한 공간 경험과 함께 누려보길 바라며 분위기까지 돋보이는 위스키 바를 엄선했다.
#라이프스타일 #카페&다이닝 #2023년 8월호#ISSUE281#칵테일 바
활기찬 고대 도시만의 매력 복합적인 면모를 지닌 아름다운 고대 도시에서 다이내믹 한 에너지를 얻어온 디모레스튜디오. 베이루트에서 그들 은 지역 아티스트 탐방을 비롯해 유명 호텔부터 빈티지 숍 까지 알차게 누볐다.
#공간 #디자이너 #2023년 2월호#ISSUE275#여행
에프레미디스 서울 갤러리 개관전 베를린 기반의 갤러리 에프레미디스(Efremidis)의 개관전이 6월 24일까지 열린다. 이번 전시는 소속 작가 6인의 단체전으로, 톰 홈스(Tom Holmes), 한나 조피 둥켈베르크(Hannah Sophie Dunkelberg), 아르투어 라이틀라브(Arthur Laidlaw), 오라 로젠버그(Aura Rosenverg), 미셸 그라브너(Michelle Grabner), 토니 저스트(Tony Just) 등을 포함한다.
#라이프스타일 #전시 #2023년 6월호#ISSUE279#갤러리
영감이 은은하게 차오르는 산책의 여정 반클리프 아펠 서울 메종 프랑스의 디자인 스튜디오 주앵 만쿠는 반클리프 아펠의 영감의 원천인 자연을 키워드로 유럽과 한국의 전혀 다른 헤리티지를 섬세하게 결합한다. 자연의 생동과 은밀함이 깃든 반클리프 아펠 서울 메종으로의 초대.
#라이프스타일 #트렌드 #2023년 3월호#ISSUE276#럭셔리#브랜드
여행의 목적이 된 미식 Taste The Diversity 2 식사를 넘어 나 자신과 순간을 가치 있게 가꾸는 한끼. 가치 소비 트렌드와 함께 뜨거운 사랑을 받는 파인 다이닝은 이제 하나의 문화이자 여행의 목적지가 되고 있다.
#푸드 #카페&다이닝 #2023년 2월호#ISSUE275#다이닝
2022 홈·테이블데코페어에서 만난 리빙 트렌드, ‘풀티’가 제안하는 선순환의 가치 지금 가장 주목받는 리빙 트렌드를 엿볼 수 있었던 2022 홈·테이블데코페어. 프리미엄 가구 리세일 플랫폼 ‘풀티’는 지속 가능한 리빙과 자원의 선순환이라는 메시지를 공유하며 관람객들과 소통했다.
#라이프스타일 #전시 #2023년 1월호#ISSUE274#풀티
존경과 동경을 담아, 재창조된 유산 시대 초월적 유산이 지닌 가치와 오리지널리티. 그 진정성이야말로 공간의 개성과 아름다움을 더한다. ‘낡은 것이 새것이다’라는 관점에서 바라보면 어떨까? 과거로부터 전해지는 소중한 유산은 개인의 특별한 추억과 연관되어 있거나, 대대로 간직해온 가보가 될 수도 있다. 남과 다를수록, 유일무이한 가치를 추구할수록 그것이 당신의 정체성이 될 것이다.
#라이프스타일 #트렌드 #2023년 1월호#ISSUE274#웰니스
공간을 진화시키는 세라믹, 세티나인 흙에서 비롯된 세라믹은 그 특유의 유연함으로 공간과 조응하고 경계를 넘나들며 머무는 즐거움을 선사한다. 2022 홈·테이블데코에서 만난 세티나인은 세라믹의 무한한 가능성을 제안하며 일상의 스펙트럼을 기분 좋게 확장하고 있었다.
#공간 #인테리어 #2023년 1월호#ISSUE274#세티나인
아름다움을 매개하는 디자인 번역가 어떤 일을 도모할 때 가장 필요한 존재는 목표와 지향점이 같은 동료라는 명제를 깨닫게 해준 디자인 듀오가 여기에 있다. 가구와 공간, 아트, 프로덕트 디자인의 경계를 넘나들며 전방위에서 활약하는 세 팀을 만났다.
#공간 #디자이너 #2022년 12월호#ISSUE273#K디자인#국내디자이너
아트 퍼니처&오브제 새로운 미학을 펼치다 그 어느 때보다 세계 컨템퍼러리 아트 신에서 국내 아트 퍼니처와 디자인 오브제를 주목하고 있다. 거침없는 실험 정신으로 무장한 작가들이 저마다의 혁신적인 디자인 세계를 선보이기 때문. 국내 아트 퍼니처와 디자인 오브제의 현주소와 그들이 탐색하는 낯선 미학을 짚어보자.
#아이템 #가구 #2022년 12월호#ISSUE273#K디자인#아트퍼니처
자연의 방식을 사색하다. 우주를 품은 조각 혹은 가구 무체계적이며 비정형적 디자인은 그 예기치 않은 놀라움으로 우리에게 생각할 여지를 제공한다. 그 요소로서 자연을 끌어들인 박원민의 가구에 대한 이야기다.
#아이템 #가구 #2022년 12월호#ISSUE273#박원민
[텀블벅 후원 종료] 공간 디자이너는 어떻게 일할까? 까사리빙의 단행본 CSLV EDITION의 첫 번째 신간, <공간 디자이너는 어떻게 일할까?>.
#공간 #디자이너 #WWDD#책
다양성이라는 아름다움의 확장 텍스쳐 기영석 디자이너 텍스쳐를 이끄는 기영석 디자이너는 르 코르뷔지에, 알바 알토, 파블로 피카소 등 근대의 디자이너와 예술가로부터 영감을 받아 가구를 디자인한다. 20세기의 모더니즘에서 착안해 현대적인 미감과 독창적인 관점으로 재해석한 결과, 아름다움에 본능적으로 이끌리듯 자꾸만 시선이 가는 가구가 탄생했다.
#아이템 #가구 #2022년 11월호#ISSUE272
조화로운 일상을 만드는 심미안 BFD 이하연 디자이너 이하연 디자이너는 소비자의 마음을 정확히 꿰뚫어 보는 명민함으로 어린이 가구인 바치 포 칠드런에 이어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BFD를 안정적으로 론칭했다. BFD에서는 간결한 디자인과 정교한 솜씨의 심미적 아름다움을 품은 제품으로 삶의 결을 다듬는 방식을 제안한다.
#라이프스타일 #리빙숍 #2022년 10월호#ISSUE271#바치포드웰링
제12회 서울모던아트쇼, 리뷰 예술과 호흡하는 새로운 방법 예술은 ‘영원한 현재’라고 했다. 같은 작품이라도 매 순간의 감흥이 다르기 때문. 지난 8월에 열린 ‘제12회 서울모던아트쇼’는 현대미술의 다채로운 매력을 펼쳐 보이며 예술과 호흡하는 소통의 장을 선사했다.
#라이프스타일 #전시 #2022년 10월호#ISSUE271#서울모던아트쇼
작은 정원에서 즐기는 우아한 만찬 뱅글 성수동의 중심가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위치한 뱅글은 찾아갈 수밖에 없게 만드는 매력적인 요소가 가득하다. 컨템퍼러리 한식 파인 다이닝 밍글스에서 새롭게 선보이는 공간인 데다가 내추럴 와인 수입사 뱅브로의 섬세한 큐레이션을 곁들여 폭넓은 와인 셀렉션을 선보인다.
#푸드 #와인/주류 #2022년 10월호#ISSUE271#내추럴와인
즐겁고 유쾌한 와인 경험의 확장 위키드와이프 쉽고 친숙한 방식으로 와인과 음식의 페어링을 제안하는 위키드와이프는 와인 애호가 사이에서 이미 입소문이 난 곳이다. 올봄 공간을 확장해 문을 연 이곳은 ‘성수동 코펜하겐’이라는 별명을 얻으며 다시 한번 핫 플레이스로서의 입지를 다지는 중이다.
가을과 함께 돌아온 아트 페어, 프리즈와 아트 바젤 프리즈 런던(Frieze London)이 런던 리젠트 파크에서 10월 12일부터 16일까지, 아트 바젤이 론칭하는 파리 플러스 파 아트 바젤(Paris+ par Art Basel)이 그랑팔레 에페메르에서 10월 20일부터 23일까지 진행된다.
#라이프스타일 #전시 #2022년 10월호#ISSUE271#프리즈
런던의 디자인+아트 페어, ‘PAD London 지난 2년간 온라인으로 진행했던 ‘PAD 런던’이 모처럼 오프라인으로 돌아온다.
#라이프스타일 #전시 #2022년 10월호#ISSUE271#PAD런던
아프리카 여성을 위한 아름다운 움직임 펜두카 나미비아 여성의 손자수 제품을 소개하는 펜두카는 생산지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공정 무역의 가치를 전한다. 단순히 지역 공동체를 돕는 것에서 나아가 합리적인 경제 구조를 정착시킴으로써 지역 공동체의 경제적 자립을 이끈다.
#라이프스타일 #리빙숍 #2022년 10월호#ISSUE271#지속가능성
건강한 소비가 만드는 건강한 지구 더피커 뚝섬역 인근에 새 보금자리를 마련한 더피커는 2016년부터 시작한 국내최초의 제로웨이스트 라이프스타일 브랜드다. 단순히 포장 없는 물건을 제안하는 차원을 넘어 제품의 생애주기를 연장해 순환의 가능성을 높이는 등 다양성 넘치는 접근법과 영감을 전한다.
#라이프스타일 #리빙숍 #2022년 10월호#ISSUE271#라이프스타일
다가오는 주요 전시 및 아트 페어, 예술 산책을 떠나볼까 - 전시 일상에 예술을 들이기 좋은 때다. 전 세계의 주요 미술관, 갤러리에서 열리는 전시와 아트 페어 미리 보기.
#라이프스타일 #전시 #2022년 9월호#ISSUE270#아트
올 하반기에 만나게 될 국제 아트 페어와 미술전 - 축제가 된 아트2 실제로 미술 작품 앞에 섰을 때의 감동을 대신할 것은 없다. 우리가 국제 아트 페어를, 비엔날레를 찾아 나서는 이유는 전 세계 미술 애호가들과 그 뜨거운 경험을 공유하며 축제의 감흥을 오래도록 간직하고 싶기 때문이다.
#라이프스타일 #전시 #2022년 9월호#ISSUE270#전시
올 하반기에 만나게 될 국제 아트 페어와 미술전 - 축제가 된 아트1 실제로 미술 작품 앞에 섰을 때의 감동을 대신할 것은 없다. 우리가 국제 아트 페어를, 비엔날레를 찾아 나서는 이유는 전 세계 미술 애호가들과 그 뜨거운 경험을 공유하며 축제의 감흥을 오래도록 간직하고 싶기 때문이다.
다가오는 주요 전시 및 아트 페어 - FAIR 해외 일상에 예술을 들이기 좋은 때다. 전 세계의 주요 미술관, 갤러리에서 열리는 전시와 아트 페어 미리 보기.
다가오는 주요 전시 및 아트 페어 - FAIR 국내 일상에 예술을 들이기 좋은 때다. 전 세계의 주요 미술관, 갤러리에서 열리는 전시와 아트 페어 미리 보기.
손끝으로 접하는 예술, 글로벌 온라인 아트 플랫폼 영 컬렉터라 일컬어지는 MZ세대를 흡수하며 연일 미술계의 호황이 이어지고 있다. 이들이 보이는 새로운 특징은 온라인 갤러리와 SNS를 활용해 적극적으로 정보를 수집한다는 것. 더 이상 미술품은 갤러리에 가야만 감상하고 구입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간편한 구매는 물론 취향까지 확립하게 도와주는 온라인 아트 플랫폼을 만나본다.
#라이프스타일 #트렌드 #2022년 9월호#ISSUE270#아트
컬렉터블 퍼니처를 향한 집념, 라바우언 서영완, 정윤조 디자이너 라바우언의 서영완, 정윤조 디자이너는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없는 로프라는 재료를 활용한 조립식 가구를 선보인다. 개성 있는 생김새와 다채로운 컬러 스펙트럼으로 사용자의 취향과 라이프스타일을 표현할 수 있는 매개체가 되어준다.
#아이템 #가구 #2022년 9월호#ISSUE270#라바우언
역사와 동시대 예술이 조화를 이루는 로버츠 부부의 스코틀랜드 성 아트 컬렉터 데이비드 로버츠는 아티스트 아내 인드레 서피티타와 함께 15세기에 세워진 스코틀랜드의 성을 삶의 공간이자 ‘더 로버트 인스티튜트 오브 아트’의 허브로 재창조하고 있다.
#공간 #건축 #2022년 9월호#ISSUE270#하우스
북유럽 가구, 라이프스타일 브랜드의 현주소 3데이즈 오브 디자인 2022 2014년에 시작해 올해로 9회를 맞이한 덴마크 디자인 페어 '3데이즈 오브 디자인(3days of design Copenhagen) 2022'. 한층 커진 규모와 화제성으로 주목받은 이번 페어에서 북유럽 가구 브랜드의 최신 이슈를 엄선했다.
#라이프스타일 #트렌드 #2022년 8월호#ISSUE269#브랜드
2022 더 메종에서 만난 <까사리빙> 인테리어 트렌드의 중심, 미드센추리 모던 지난 6월 코엑스에서 열린 더 메종에서 <까사리빙>은 시대를 초월해 변함없이 사랑받는 ‘미드센추리 모던’ 기획전을 마련했다. 눈으로만 감상하던 미드센추리 모던 디자인의 정수를 확인할 수 있었던 그날의 전시를 만나보자.
#라이프스타일 #전시 #2022년 8월호#ISSUE269#더메종
2022 더 메종 리뷰, 더 나은 삶을 위한 공간 인테리어 트렌드 제시 국내 첫 공간 전시이자 프리미엄 홈 스타일링 전시인 ‘2022 더 메종(THE MASION)’이 지난 6월 22일부터 25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렸다. 공간을 수놓는 수준 높은 오브제와 가구, 이를 적용할 공간에 대한 인사이트와 최신 트렌드 등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어 전시 내내 많은 이의 발걸음이 이어졌다.
프리즈 서울×키아프 서울 오는 9월 ‘프리즈 서울’과 ‘키아프 서울’이 서울 코엑스에서 동시에 열린다.
#라이프스타일 #전시 #2022년 8월호#ISSUE269#예술#아트
엘쎄드지 강정선 대표의 취향 컨템퍼러리 분더캄머 정성스레 잘 만든 제품은 스타일이 각기 달라도 함께 모았을 때 서로 부딪히지 않는다. 오히려 이색적 조화를 통해 새로운 영감을 이끌어낸다. 강정선 대표가 이클렉틱 스타일을 좋아하는 이유다.
#공간 #인테리어 #2022년 8월호#ISSUE269#인테리어
{BrandETitle}
{ProductName}
{ProductOptionText}
{ShowProductPrice}원수량 : {ProductUn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