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Y
국내 재생 프로젝트 10, 건축에 지속성을 부여하다 PART ② 굳게 닫혀 있던 공간에 새로운 가치와 에너지를 덧댄 도시재생 사례를 모았다. 시공간의 공유를 넘어 휴식과 미식, 경험과 문화를 창조한 10개의 공간.
#라이프스타일 #트렌드 #2023년 10월호#ISSUE283#재생 건축
나만의 감각적인 공간을 위해 뮤토모 아트 프로젝트(Mutomo Art Project)가 판교에 쇼룸을 새롭게 오픈했다.
#라이프스타일 #리빙숍 #2023년 10월호#ISSUE283#가구
두닷 ‘콰트로 에어 퀀텀 스퀘어 페닉스 소파 테이블 가구 브랜드 두닷이 ‘콰트로 에어 퀀텀 스퀘어 페닉스 소파 테이블’을 선보였다. 뛰어난 내구성과 내열성, 발수 기능을 갖춘 신소재 페닉스를 활용한 제품으로 미니멀 디자인, 인체공학적인 설계를 더했다. 두닷만의 차별화된 디테일은 거실 라이프스타일을 더욱 풍성하고 윤택하게 가꿔준다.
#아이템 #가구 #2023년 10월호#ISSUE283#두닷#테이블
숙면을 돕는 아이템, 잘 자는 밤을 위하여 삶의 질을 좌우하는 요소 중 가장 근본이 되는 것은 다름 아닌 수면. 편안한 잠자리의 질을 한층 높여줄 다종다양한 아이템을 모았다.
#아이템 #데코 #2023년 9월호#ISSUE282#침실 인테리어
수면의 격을 높이다, 잠에 대한 세 가지 조언 수면의 질은 곧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았다. 3인의 전문가가 이야기하는 숙면을 위한 제안에 귀 기울여 보자.
#아이템 #용품 #2023년 9월호#ISSUE282#침실#수면
소재부터 남다른 주방수전 프리미엄 배스&키친 브랜드 라우체는 SUS316L 스테인리스 스틸로 월등한 내구성을 갖춘 코인 51109L 주방수전을 제안한다.
#아이템 #주방 #2023년 9월호#ISSUE282#주방용품
해와 달을 품은 가족의 안식처, 스몰디 공간 프로젝트 ‘일월당’ 가족은 ‘집’에서 성장한다. 온 가족의 취향과 일상을 다채롭게 담아내는 공간이 중요한 이유다. 공간 디자인 스튜디오 스몰디는 마치 해와 달처럼 열정과 고요, 아이와 어른을 모두 아우르는 ‘일월당’을 완성했다.
#공간 #인테리어 #2023년 8월호#ISSUE281#집 인테리어
감각적 사유를 향한 여정, 스테이 오묘 제주 자연의 생명력을 상징하는 금오름을 바라보며 야외에서 목욕을 향유할 수 있다면. 상상만으로도 묘한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이 문장은 지랩이 설계한 스테이 오묘에서 하나의 시퀀스로 실현된다.
#공간 #인테리어 #2023년 8월호#ISSUE281#배스케이션#숙소
부드럽게 일렁이는 수공간, 곳곳 제주 서귀포 호근동에서 30여 년간 감귤밭을 가꿔온 호스트의 손길로 태어난 스테이 곳곳.
#공간 #하우징 #2023년 8월호#ISSUE281#배스케이션#숙소
자연의 곁에서, 보르고 갈라나 이탈리아의 풀리아 지방의 전통 가옥인 트룰로(Trullo)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보르고 갈라나는 검박한 시골집처럼 편안하면서도 이국적인 정서를 품고 있다.
욕실을 위한 폭넓은 선택지, 워터웍스 40여 년의 역사를 보유한 워터웍스는 세밀한 재료 선택과 혁신적인 기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취향을 충족시키는 감도 높은 욕실을 선보인다. 욕실 가구와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조명, 액세서리에 이르기까지 그 카테고리를 부단히 넓혀가는 중이다. 워터웍스를 국내에 선보인 배스&키친 인테리어 편집숍 알프레드 서울의 김성진 대표를 만나 워터웍스만의 철학과 비전을 들어보았다.
#공간 #욕실 #2023년 8월호#ISSUE281#욕실 스타일링
매력적인 주방의 탄생 나의 감각적인 취향을 드러낼 수 있는 주방을 원한다면 프리미엄 배스&키친 브랜드 라우체가 선보이는 주방수전을 주목해보자.
#아이템 #주방 #2023년 7월호#ISSUE280#주방
일상의 중심이 된 공간, KITCHEN THERAPY 키친은 단순히 요리를 하는 공간을 넘어 힐링과 휴식을 위한 곳으로 진화하고 있다. 식문화 개선은 물론 소통, 여가, 취미 등 한발 더 나아간 역할의 키친을 소개한다.
#공간 #주방 #2023년 7월호#ISSUE280#주방
폴리폼의 디자이너 에마뉘엘 갈리나 타임리스한 우아함 폴리폼은 최근 밀라노 가구 박람회에서 에마뉘엘 갈리나의 ‘모놀리스’ 테이블 컬렉션을 선두로 다양한 신제품을 론칭했다. 얇게 커팅한 부드러운 코너의 트래버틴 대리석 상판과 둥글게 깎은 목제 다리가 조화를 이룬 에마뉘엘 갈리나의 테이블은 브랑쿠시의 조각처럼 원형적이고 순수한 우아함을 지녔다.
#아이템 #가구 #2023년 6월호#ISSUE279#폴리폼
몰테니앤씨 최고마케팅책임자 줄리아 몰테니, 라이프스타일 브랜드로의 확장 일찍이 건축가 루카 메다, 알도 로시와의 협업으로 탄생해 혁신적인 가구를 선보이며 모던 이탈리아 가구의 기수로 자리 잡은 몰테니앤씨. 절제된 우아함과 기능성이 조화된 컬렉션으로 사랑받는 몰테니앤씨는 오늘날 라이프스타일 브랜드로 그 영역을 확장하며 또 다른 진화를 꾀한다.
#아이템 #가구 #2023년 6월호#ISSUE279#몰테니앤씨
푸오리살로네 2023에서 삼성전자가 선보인, 더욱 선명해진 비스포크 라이프를 만나다 푸오리살로네 2023에서 삼성전자의 비스포크 라이프는 한층 더 완전해진 모습을 드러냈다. 환경에 대한 책임감은 물론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과 취향까지 세밀하게 반영한 삼성전자의 비스포크 라이프는 오늘날의 가전, 그 이상의 미래를 포괄한다.
#라이프스타일 #전시 #2023년 6월호#ISSUE279#푸오리살로네#삼성전자
주방을 새롭게 상상하다 ‘까사 데 아템포 쿠치네(CASA de a.tempo cucine)’는 자노타와 테크노, 플로스, 아르떼미데 등을 소개해온 하이엔드 라이프스타일 프로바이더 아템포(a.tempo)의 주방 전문 쇼룸이다.
#라이프스타일 #리빙숍 #2023년 6월호#ISSUE279
#빈티지 #플랜테리어 자연과 동화된 그리너리 홈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오티에이치콤마를 운영하고 유튜버 예진문 으로 활동하는 크리에이터 문예진. 그녀의 집은 일상과 여행에서 얻은 영감이 인테리어의 바탕이다. 창과 빛, 식물 등의 요소를 적극 적으로 활용해 자연이 짙게 물든 아름다운 공간을 완성했다.
#공간 #인테리어 #2023년 4월호#ISSUE277#집 인테리어
공간 인사이트 & 리빙 비즈니스 컨퍼런스 1 프리미엄 공간 박람회 더 메종의 연계 컨퍼런스인 디자인살롱 서울은 공간, 디자인, 트렌드 전문가들이 공유하는 인사이트의 장이다. 오는 4월 20일, 21일 이틀간 열리는 이번 컨퍼런스는 공간 인사이트와 리빙 비즈니스를 주제로 진행된다.
#라이프스타일 #전시 #2023년 4월호#ISSUE277#컨퍼런스
풍부한 미감의 세라믹을 만나다 논현동에 위치한 세티나인 쇼룸은 신제품인 ‘사피엔스톤(Sapiennstone) 4D’ 세라믹으로 주방 쇼룸을 리뉴얼해 오픈했다.
#아이템 #주방 #2023년 4월호#ISSUE277#세티나인
MCNJ 쇼룸, 공간에 새로운 품격을 더하다 집 안의 요소를 어떻게 구성하고 연결하느냐에 따라 공간의 완성도가 달라진다. 프리미엄 욕실 자재 및 원목마루 브랜드를 만날 수 있는 MCNJ 쇼룸에는 집 본연의 기능을 더욱 강화하는 동시에 일상의 미감을 더해주는 아이템이 가득하다.
#공간 #욕실 #2023년 3월호#ISSUE276#파나제
2023 스톡홀름 가구 박람회, 스칸디나비안 관점으로 본 오늘의 디자인 3년 만에 돌아온 스톡홀름 가구 박람회가 세계 디자인 피플의 발걸음을 사로잡았다. 스칸디나비안 디자인을 위한 최대 규모의 전문 플랫폼으로서 진일보한 오늘의 소식을 전한다.
#라이프스타일 #전시 #2023년 3월호#ISSUE276#가구
톤 온 톤 컬러의 타운하우스 햇살을 닮은 집 간결함 속 포근한 온기가 느껴지는 공간을 상상하며 리노베이션한 집. 채도가 높지 않은 웜톤의 색감과 원목 자재의 조합으로 자칫 차가워 보일 수 있는 공간에 아늑한 감성을 부여했다.
#공간 #인테리어 #2023년 3월호#ISSUE276#리노베이션
기능적이고 우아한 미니멀리즘, 헤렌하우스 깊이 있는 안식처 때로 디자이너는 디자인을 거둠으로써 핵심에 다가갈 수 있다. 고요한 아름다움을 통해 감각을 확장하며 깊이 있는 휴식을 제공하는 헤렌하우스로 초대한다.
#공간 #인테리어 #2023년 3월호#ISSUE276#라이프스타일
정교하게 쌓아 올린 헤리티지의 새 무대 하우스 우영미 디자이너 우영미가 직접 완성한 패션 하우스 '하우스 우영미'는 정교하게 재단한 그녀의 의상을 연상시킨다. 지난 35년간 한국을 넘어 패셔니스타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디자이너 우영미의 비전이 그 안에 담겼다.
#라이프스타일 #트렌드 #2023년 3월호#ISSUE276#럭셔리#브랜드
영감이 은은하게 차오르는 산책의 여정 반클리프 아펠 서울 메종 프랑스의 디자인 스튜디오 주앵 만쿠는 반클리프 아펠의 영감의 원천인 자연을 키워드로 유럽과 한국의 전혀 다른 헤리티지를 섬세하게 결합한다. 자연의 생동과 은밀함이 깃든 반클리프 아펠 서울 메종으로의 초대.
여행의 목적이 된 미식 Taste The Diversity 2 식사를 넘어 나 자신과 순간을 가치 있게 가꾸는 한끼. 가치 소비 트렌드와 함께 뜨거운 사랑을 받는 파인 다이닝은 이제 하나의 문화이자 여행의 목적지가 되고 있다.
#푸드 #카페&다이닝 #2023년 2월호#ISSUE275#다이닝
여행의 목적이 된 미식 Taste The Diversity 1 식사를 넘어 나 자신과 순간을 가치 있게 가꾸는 한끼. 가치 소비 트렌드와 함께 뜨거운 사랑을 받는 파인 다이닝은 이제 하나의 문화이자 여행의 목적지가 되고 있다.
예술적 영감을 찾아 떠난 휴가 Creative Getaways 1 여기 순수한 예술적 영감을 나누고자 자신의 공간을 내어주는 사람들이 있다. 과시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이상 그 자체를 실현하기 위한 예술. 그 영혼의 휴식을 찾아 떠나보자.
#라이프스타일 #트렌드 #2023년 2월호#ISSUE275#예술
이상적인 라이프스타일의 경험 Explore Desirable Lifestyles 1 가구 브랜드와 편집숍이 큐레이션한 숙소는 머무름 이상의 다각적인 경험을 선사한다. 인테리어 영감으로 충만한 공간에서 리빙 아이템을 자유로이 사용하며 자신의 취향을 발견해보자.
#공간 #인테리어 #2023년 2월호#ISSUE275#라이프스타일
자신에게 오롯이 집중하는 웰니스 여행 Plan Your Rest 2 현실의 속도와 소음에서 벗어나 자신의 내면에 집중하는 시간이 누구에게나 필요하다. 자연의 품에서라면 더욱 좋을 테다. 모든 것의 근원은 자연에 있으니 말이다.
#공간 #건축 #2023년 2월호#ISSUE275#여행
자신에게 오롯이 집중하는 웰니스 여행 Plan Your Rest 1 현실의 속도와 소음에서 벗어나 자신의 내면에 집중하는 시간이 누구에게나 필요하다. 자연의 품에서라면 더욱 좋을 테다. 모든 것의 근원은 자연에 있으니 말이다.
공간을 진화시키는 세라믹, 세티나인 흙에서 비롯된 세라믹은 그 특유의 유연함으로 공간과 조응하고 경계를 넘나들며 머무는 즐거움을 선사한다. 2022 홈·테이블데코에서 만난 세티나인은 세라믹의 무한한 가능성을 제안하며 일상의 스펙트럼을 기분 좋게 확장하고 있었다.
#공간 #인테리어 #2023년 1월호#ISSUE274#세티나인
성수동 리빙&라이프스타일 숍 투어 지금 여기, 연무장길 1 서울에서 가장 트렌디하고 역동적인 동네로 손꼽히는 성수동. 그중에서도 뚝섬역과 성수역을 잇는 연무장길을 중심으로 일어나는 변화가 심상치 않다. 팝업 스토어의 성지이자 글로벌 브랜드의 핵심 거점으로 자리매김하면서 새로운 콘텐츠가 끊임없이 흐르고 있다. 골목길로 눈을 돌리면 힙하고 매력적인 로컬 숍이 속속 나타나 다채로운 경험을 선사한다. ‘성수잘알’이 되고 싶다면, 연무장길부터 탐방할 것! 에디터가 엄선한 핫&히든 플레이스로 발걸음을 성큼 옮겨보자.
#라이프스타일 #리빙숍 #2023년 1월호#ISSUE274#성수동
식탁에 불어넣는 활기 글로벌 럭셔리 온라인 쇼핑 플랫폼 매치스패션이 벨라 프로이드의 세라믹 컬렉션 ‘I LOVE YOU IN THE MORNING’을 론칭했다.
#아이템 #주방 #2023년 1월호#ISSUE274#벨라 프로이드
장인 정신이 깃든 테이블웨어 식탁에서의 시간을 예술적으로 바꿔줄 테이블웨어를 제안하는 편집숍 그레시종(Grecision)은 오랜 세월 동안 재료와 디자인에 대해 깊이 연구하고 고민해온 장인 정신이 담긴 브랜드를 엄선해 소개한다.
#아이템 #주방 #2023년 1월호#ISSUE274#그레시종
소통하는 주방으로, 불탑 서울의 리뉴얼 정교하고 미니멀한 디자인 속에 기술적인 완벽함을 드러내는 독일의 하이엔드 주방 시스템 불탑.
#라이프스타일 #리빙숍 #2023년 1월호#ISSUE274#불탑
안온함이 깃든 주거 멀지만 가까운 나의집 타지에 온전한 보금자리를 갖는 것은 생각만큼 쉬운 일이 아니다. 외국인 거주자를 위한 와이 프로젝트는 시각적 요소를 활용한 감각의 환기로 또 하나의 ‘내 집’을 구현한다.
#공간 #인테리어 #2023년 1월호#ISSUE274#라이프스타일
'나'다운 게 트렌드, 취향 존중이 곧 자아 존중 나 자신에 대해 제대로 알고자 하는 열망은 여전히 뜨겁다. 매년 베스트셀러에 오르는 <트렌드 코리아 2023>은 무난함과 전형성은 사라지고 개인 맞춤화 경향이 강해지는 ‘평균 실종’을, 트렌드 분석서 은 더 선명하고 입체적인 나를 의미하는 ‘하이퍼 퍼스낼리티’를 2023년의 키워드로 지목했다. 최장기 스테디셀러로 꼽히는 <나는 나로 살기로 했다>의 인기도 결국엔 스스로에 집중하고 싶다는 바람을 보여주는 것이고, 안부처럼 묻는 MBTI 유형 또한 궁극적으로는 나와 타인을 더 알고 싶다는 욕구가 반영되어 있다. 같은 맥락에서 사람들은 정체성과 취향이 담긴 집, 자신의 욕구를 만족시키며 경험을 이야기하는 집을 갖고자 한다.
#라이프스타일 #트렌드 #2023년 1월호#ISSUE274#웰니스
달라지는 집의 개념, 하이브리드 홈 거주자의 삶의 방식에 맞춰 한층 다기능적이고 융통성 있는 공간으로 진화하고 있는 집. ‘리추얼’, ‘마음챙김’을 실천하는 나만의 오아시스를 설계하거나 타인과의 긍정적인 연결을 도모하는 개방형 라이프스타일의 거처로서 거듭나는 중이다. 하이브리드 근무로의 전환이 다중거점생활자의 등장을 야기했고, 그 결과 공유 오피스와 공유 별장 같은 물리적 공간을 또 다른집으로 인식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라이프스타일 #트렌드 #2023년 1월호
{BrandETitle}
{ProductName}
{ProductOptionText}
{ShowProductPrice}원수량 : {ProductUn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