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비 중입니다.
NEW
HAY
AAC22 체어,오크, 그레이
430,000
SOLD OUT
Chilewich
T매트M바스켓위브36x48_콘페티
29,000
Alessi
라쿠폴라 에스프레소 커피메이커_6C_블랙 A9095/6 B
200,000
Rosendahl Timepieces
AJ 뱅커스 테이블 시계_화이트
177,000
#2023년 2월호
#라이프스타일
#여행
자신에게 오롯이 집중하는 웰니스 ..
타인, 문명과의 접속을 최소화하고 비워내는 것에 집중한 아틴 마루. 건축, 인테리어 ..
#공간#하우징 #2023년 2월호#ISSUE275#여행
강을 닮은 주거 내면으로 함께하는..
세밀하게 제작한 칸살 도어는 공간의 개방감은 물론 드리우는 그림자의 변주를 만들어..
#공간#인테리어 #2023년 2월호#ISSUE275#라이프스타일
디자이너의 여행 3
©조미연조미연디자인 컨설팅 스튜디오 라라디자인컴퍼니를 이끄는 조미연 디자이너의..
#공간#디자이너 #2023년 2월호#ISSUE275#여행
뉴욕 트라이베카의 비밀스러운 안..
현관문에서 로프트로 들어가는 복도. 스윙 도어를 달아 완전히 열어젖힐 수 있는 것이..
#공간#인테리어 #2023년 2월호#ISSUE275#월드
건축가 유동룡, 삶의 궤적 바람의 ..
유동룡의 40여 년 건축 및 예술 작품과 그의 오리지널리티를 만날 수 있는 유동룡미술..
#라이프#전시 #2023년 2월호#ISSUE275#유동룡 미술관
BUY
황금빛 색채의 향연 서울 워커힐 호텔앤리조트에 개관하는 ‘빛의 시어터’가 첫 전시로 <빛의 시어터: 클림트>전을 선보인다.
#라이프 #전시 #2022년 5월호#ISSUE266
거장의 작품부터 NFT 아트까지, 아트부산 2022 제11회 아트부산이 5월 12일 VIP 프리뷰를 시작으로 15일까지 부산 벡스코(BEXCO)에서 열린다.
구찌의 컨템퍼러리 레스토랑 이탈리아 럭셔리 브랜드 구찌와 세계적인 셰프 마시모 보투라가 협업한 구찌 오스테리아 서울(Gucci Osteria Seoul)이 이태원에 문을 열었다.
#푸드 #카페&다이닝 #2022년 5월호#ISSUE266#구찌
호텔 욕실 같은 쾌적함 우리 집 욕실을 특급 호텔처럼 고급스럽게 꾸미고 싶다면 주목.
#아이템 #용품 #2022년 5월호#ISSUE266
달라진 뱅앤올룹슨 뱅앤올룹슨이 압구정 플래그십 스토어를 리뉴얼했다는 소식이다.
#아이템 #테크 #2022년 5월호#ISSUE266#뱅앤올룹슨
아름지기로 놀러 오세요! 우리 문화의 아름다움을 알려온 재단법인 아름지기의 사옥으로 나들이를 떠나보자.
#라이프 #트렌드 #2022년 5월호#ISSUE266
한국적 미학으로 교감하다, 이스턴에디션 x 헤리터 한국적인 감성과 동시대의 미학 사이에서 균형을 꾀하는 두 브랜드의 세계를 하나의 공간에서 만날 수 있게 되었다.
#아이템 #가구 #2022년 5월호#ISSUE266
루밍의 감도 높은 제안 라이프스타일 편집숍 루밍이 서초동에 쇼룸을 오픈했다. 기존의 서래마을 쇼룸보다 훨씬 넓은 규모로 확장해 이전한 것으로, 지하 1층부터 지상 2층까지 전체 면적이 총 1173.5m2 (355평)에 이른다.
#아이템 #가구 #2022년 5월호#ISSUE266#루밍
지속 가능한 삶을 실천하는 사람들의 이야기, <우리와 지구(Us & Our Planet)> 이케아에서 글로벌 출판사 파이돈과 함께 출간한 <우리와 지구(Us & Our Planet)>는 지속 가능성을 주제로 좀 더 색다른 접근을 꾀했다.
#라이프 #에코 #2022년 5월호#ISSUE266#이케아
세라믹 테이블 위에서의 만찬 보컨셉의 세라믹 다이닝 테이블로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는 알리칸테(Alicnate) 테이블의 애시 컬러가 새롭게 출시되었다.
#아이템 #가구 #2022년 5월호#ISSUE266#테이블
한샘의 제안, 2022년 봄 라이프스타일 트렌드 (주)한샘에서는 매년 모델하우스의 신제품을 통해 새로운 라이프스타일 트렌드를 제안하고 있다.
#아이템 #가구 #2022년 5월호#ISSUE266#한샘 가구
즐거운 아웃도어 라이프를 위해 한샘넥서스에서 만날 수 있는 스페인 가구 브랜드 케탈(Kettal)의 아웃도어 키친은 심플한 실루엣에 기능성을 갖춘 야외용 보조 주방이다.
#아이템 #주방 #2022년 5월호#ISSUE266#아웃도어 가구
목공예의 진수 품격이 다른 가구, 리빙 브랜드를 취급하는 리아(Lia)에서 이탈리아의 가구 회사 체코티 콜레치오니(Ceccotti Collezioni)의 예술적인 데스크를 소개한다.
정원에서 사는 법 소박하고 평화로운 정서로 가득한 목가적인 삶의 중심에는 바로 정원이 있다. 계절 의 변화를 목격하고 자연이 지닌 생명의 힘을 고스란히 느끼는 장소다. 정원은 하 루아침에 생겨나지 않아서 주인의 꾸준한 관심과 노고를 요한다. 그러니 정원만큼 사는 이의 라이프스타일과 취향을 고스란히 엿볼 수 있는 곳이 또 있을까. 공간에 따라 각각 다른 규모와 모습으로 조성된 정원 딸린 집을 소개한다.
#라이프 #가드닝 #2022년 5월호#ISSUE266#정원
일상으로 정원을 들이는 법 식물의 생명을 틔우고, 보살피고, 가꾸는 모습을 영상으로 전하는 세 명의 정원사가 있다. 마당의 정원부터 베란다의 미니 정원까지 매일 손끝에 초록물을 들이는 이들에게 정원 생활과 초보 정원사를 위한 팁을 들어보았다.
#라이프 #가드닝 #2022년 5월호#ISSUE266#식물
집 안팎을 부유하는 아웃도어 오브제의 매력 빛을 따라서 일상의 소란을 잠시 뒤로한 나만의 시간, 빛과의 은밀한 대화가 시작된다. 집의 안팎을 오가며 감성적인 분위기를 연출하는 이동식 포터블 조명과 인도어 리빙 가구처럼 세련된 공간을 연출하는 아웃도어 가구 컬렉션을 만나보자.
#아이템 #가구 #2022년 5월호#ISSUE266#아웃도어
인간 중심적 조경과 도시디자인, 김미경 스미소니언 쿠퍼 휴잇 내셔널 디자인 뮤지엄이 주최하는 내셔널 디자인 어워드 수상자이자 청계천, 시카고 식물원 등 굵직한 프로젝트로 유명한 재미 조경 건축 디자이너 김미경은 인간 중심의 디자인을 위해 환경과 건강 문제에 접근하며 과학과 예술의 태피스트리를 엮고 있다.
#라이프 #에코 #2022년 5월호#ISSUE266#라이프스타일 트렌드
영감의 정원 아름다운 정원은 시대를 막론하고 풍부한 영감을 제공해왔다. 20세기 클로드 모네 에게 영감을 준 전위적인 노르망디 정원에서부터 만화 <피너츠>의 캐릭터들과 걷고 명상할 수 있는 제주 스누피 가든, 토종 식물의 가치를 재조명하는 정원 디자이너 황지해의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전시까지. 삶의 다양한 사유를 가능케 하는 정원을 소개한다.
자연에 가장 가까운 조경, 정영선 삶이 퍽퍽하다 느낄 때면 공원과 정원, 산책로를 찾는다. 그곳은 분명 정영선 조경가가 매만진 땅일 것이다.
디자인이 보이지 않는 명상적 정원, 앤드리아 코크런 모더니즘 조경을 지향하는 미국의 조경가 앤드리아 코크런은 오늘도 조화를 머릿속에 그린다. 건축, 예술, 자연 모든 요소가 절묘하게 맞아들어갈 때 정원을 거니는 사람의 마음에 온전한 평온이 찾아온다는 사실 때문이다.
삼성 무풍에어컨과 함께하는 ‘무풍테리어’ 간결하고 우아한 프렌치 스타일 인테리어라고 하면 누구나 떠올리는 사람이 있다. 바로 공간 디자이너 권순복이다. 그녀는 현재 마젠타 대표로서 주거 및 상업공간, 전시 분야를 넘나들며 활약하는 공간 디자이너다. 각기 다른 컬러와 형태, 디테일의 섬세한 조화를 통해 공간의 품격을 높이기로 정평 난 그녀가 이번에는 2022년형 삼성 무풍에어컨을 활용해 다양한 공간을 위한 맞춤식 ‘무풍테리어’를 제안한다.
#아이템 #테크 #2022년 5월호#ISSUE266#에어컨
이토록 쉬운 봄맞이 화사한 봄날의 분위기를 한층 깊이 느끼도록 만들어줄 유리, 세라믹 소재의 화병을 소개한다. 공간 속에 변화하는 계절을 옮긴 듯, 빛 아래 자연스레 반짝이는 화병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감상하는 재미도 있다.
#아이템 #ACC #2022년 5월호#ISSUE266#화병
삶의 순환을 포용하는 사계절 정원, 피트 아우돌프 우리는 언젠가부터 화려한 로즈 가든보다 자연스러운 풀과 작은 꽃들이 어울린 수수한 정원에 더 마음을 주게 되었다. 그런데 이 모든 것이 어느 한 사람의 틀을 깨는 발상에서 시작된 것이라면? 오늘날 세계 정원 디자인 분야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끼치고 있는 바로 그, 네덜란드의 정원 디자이너 피트 아우돌프를 소개한다.
신비롭고 기묘하고 유쾌한 발상 자연을 닮은 사물 우주와 동식물, 대자연은 우리의 오랜 탐구 대상이자 영감의 원천이다. 디자이너들은 새로운 사물을 고안할 때도 자연에서 해답을 얻곤 한다. 여기, 놀라운 발상과 재치로 자연을 재해석한 열 가지 아이템을 소개한다.
#아이템 #가구 #2022년 5월호#ISSUE266#인테리어
아이를 위한 가구 다채로운 색감과 아기자기한 디자인을 겸비한 키즈 체어를 골라보았다. 동화 같은 분위기의 컬러풀한 방뿐만 아니라 내추럴한 우드 톤의 방에도 포인트 아이템이 되어준다.
#아이템 #가구 #2022년 5월호#ISSUE266#의자
가든 인 원더랜드 자연은 편안함과 안정감을 주지만 경이롭고 놀라운 힘을 발휘하며 우리를 압도하기도 한다. 자연이 뿜어내는 생동한 에너지로 가득한 신비한 정원을 상상해봤다. 꽃과 식물의 활기찬 기운이 감돌고, 크고 작은 동물이 불쑥 튀어나오는 동화 같은 이곳은 꿈과 희망의 정원이다.
#공간 #인테리어 #2022년 5월호#ISSUE266#인테리어 영감
국내파 디자이너의 좌충우돌 뉴욕 적응기 한국에서 착실히 작업하며 개인 브랜드를 키우던 디자이너가 돌연 미국으로 떠났다. 막연한 희망과 호기심을 안고 뉴욕으로 가 현지에서 자리 잡기까지 산전수전 겪은 이야기를 솔직하게 전한다.
#공간 #디자이너 #2022년 5월호#ISSUE266#디자이너
새로운 시대의 디자인을 말하다 올봄 메종&오브제는 ‘뉴 럭셔리(New Luxury)’에 주목했다. 장인 정신을 바탕으로 한 최고급의 럭셔리는 물론 대중문화와 첨단 기술을 결합한 새로운 개념의 럭셔리를 제시했다. 트렌드 전문가의 시선부터 라이징 브랜드와 디자이너까지 전 세계 디자인의 흐름을 살펴보았다.
#라이프 #트렌드 #2022년 5월호#ISSUE266#디자인 박람회#메종오브제
시골스러운 매력, 러스틱 하우스 2 촌스럽고 낡은 것이 힙한 코드로 떠올랐다. 내추럴한 소재와 컬러, 소박하고 편안한 멋을 풍기는 러스틱 스타일 제안.
#아이템 #가구 #2022년 5월호#ISSUE266#스타일링
시골스러운 매력, 러스틱 하우스 1 촌스럽고 낡은 것이 힙한 코드로 떠올랐다. 내추럴한 소재와 컬러, 소박하고 편안한 멋을 풍기는 러스틱 스타일 제안.
새로운 화두가 된 다양성 20세기 디자인 리론칭 붐 최근 과거에 디자인된 가구의 생산을 재개하는 리이슈 움직임이 활발하다. 가장 큰 흐름을 주도하고 있는 것은 포스트 모던 가구 디자인이 태동하던 1960년대와 1970년대에 걸쳐 탄생한 것들. 스위스 디자이너 브루노 레이의 가구도 예외가 아니다.
#아이템 #가구 #2022년 5월호#ISSUE266#가구 디자인
나만의 명상 시간 리추얼을 위한 오브제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오는 피로감 속에서 속도를 늦추고 진짜 나를 찾아가기 위한 노력은 오늘날 '리추얼(Ritual)'이란 개념으로 대변된다. 소박하고 여유로운 시간을 위한 상징적 오브제인 캔들 홀더가 그런 의미에서 재조명되고 있다.
#아이템 #가구 #2022년 5월호#ISSUE266#캔들 홀더
정성껏 보살피는 마음으로 도잠 이정혜 디자이너 이정혜 디자이너는 작은 집에 거주하는 사람들을 위한 가구를 만들고자 오래도록 연구했다. 행복한 삶에 필요한 건 큰 집과 많은 물건이 아닌, 마음의 평화가 깃든 집과 늘 손이 가는 정든 물건이라는 믿음으로. 그녀의 세밀한 눈과 한결같은 인내심은 가구 하나하나에 스며들어 독보성을 낳았다.
스테이, 잠시 머무는 공간 그 이상의 고민 지랩은 국내 스테이 업계의 건축, 디자인, 브랜딩 수준을 한층 끌어올렸다. 호텔에서의 경험, 환대, 미감을 스테이에 접목해 여행지에서의 공간 경험을 제공한다. 지랩이 하나의 스테이 공간을 완성하기 위해 치열히 던지는 고민과 노력에 대하여.
#공간 #하우징 #2022년 5월호#ISSUE266#스테이#WWDD
헴이 그리는 디자인의 미래 좋은 디자인은 잘 만들어야 하고 환경에 친절해야 한다. 시중에 나온 수많은 제품 사이로 더 많은 제품을 내놓는 것만으로는 충분치 않다고 말하는 페트루스 팔메르는 시간이 지날수록 고객과 제품이 강한 유대감을 형성하는 디자인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아이템 #가구 #2022년 5월호#ISSUE266#헴
북유럽 집에 대한 새로운 시선 이 시대에 탄생한 스웨덴에서 가장 흥미로운 가구 브랜드 헴(Hem)의 설립자이자 대표인 페트루스 팔메르(Petrus Palmér)의 새로운 공간은 북유럽의 요즘 집 문화가 어떻게 흘러가고 있는지 조망할 수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자연을 닮은 차분함과 심플함, 기능미로 대표되는 북유럽 인테리어에 대한 고정관념을 바꿔줄 독창적인 유쾌함을 더했기 때문이다.
#공간 #하우징 #2022년 5월호#ISSUE266#헴
{BrandETitle}
{ProductName}
{ProductOptionText}
{ShowProductPrice}원수량 : {ProductUnit}